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Group Functions
- AVG
- SQL내장함수
- sqlp
- 데이터모델링
- Where
- sql전문가
- SUM
- Atomic Habit
- SQL연산자
- 3개월 완독 챌린지
- SQL개발자
- Britcent 3개월 완독 챌린지
- 단일 행 서브 쿼리
- CASE중첩
- SQLD
- 다중 열 서브 쿼리
- Window Functions
- Aggregation Function
- SQL숫자형 함수
- SQL Grouping Functions
- nvl
- Simple Case Expression
- SQL기본
- SQL문자형함수
- Cloud ERP
- 연관 서브 쿼리
- sql
- null
- Searched Case Expression
- Today
- Total
목록SQL (30)
슴슴한 IT
1. Definition SQL 질의 결과에서 행의 순서를 나타내는 열로, 주로 Oracle 에서 사용되며 결과 집합에서 각행에 임시로 부여되는 일련번호입니다. 테이블이나 집합에서 원하는 만큼의 행만 가져오고 싶을 때 WHERE 절에서의 행의 갯수를 제한하는 목적으로 사용됩니다. 2. Syntax SELECT column1, column2... FROM table_name WHERE Condition AND ROWNUM
SQL Window Functions: Definition, Types, and Examples Introduction 기본적으로 관계형 데이트 베이스는 컬럼과 컬럼 간의 연산,비교,연결이나 집합에 대한 집계는 쉬운 반면, 행과 행간의 관계를 정의하거나 행과 행간의 비교,연산하는 것은 하나의 SQL문으로 처리하는 것은 매우 어렸습니다. 그래서 일반적으로 PL/SQL, SQL/PL, T-SQL 등과 같은 절차형 프로그램을 작성하거나, INLINE VIEW를 이용해 복잡한 SQL문을 작성해야하는데, 행과 행간의 관계를 쉽게 정의하기 위해 만든 함수가 바로 윈도우 함수입니다. 윈도우 함수는 튜닝 관점에서도 변형된 튜닝 문장보다는 DBMS에서 제공하는 최적화 된 윈도우 함수를 사용하는 것이 더욱 효과적 일 수 ..
Section 1: Introduction SQL에서는 데이터를 분석하고 요약하는 데 사용되는 다양한 함수가 있으며, ANSI/ISO SQL 표준은 Aggregate Function, Group Function, 그리고 Window Function으로 구분하고 있습니다. 오늘은 이 세 가지 함수의 개념, 사용법, 그리고 예제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Section 2: Aggregate Functions Aggregate Functions는 GROUP AGGREGATE FUNCTION이라고도 부르며, GROUP FUNCTION의 한 부분으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여러 행의 데이터를 하나의 결과 값으로 요약합니다. 대표적인 예로는 SUM, AVG, MIN, MAX, COUNT 등이 있습니다. 예시 :..
Section 1: 서브쿼리란 무엇인가? 서브쿼리는 SQL 쿼리 내에서 다른 쿼리를 실행하는 작은 쿼리입니다. 이는 복잡한 쿼리를 단순화하고, 데이터를 필터링하거나 정렬하는 데 사용됩니다. 서브쿼리는 메인 쿼리의 WHERE, FROM, SELECT 절 등에서 사용될 수 있습니다. Section 2: 서브쿼리의 종류 동작하는 방식에 따른 서브 쿼리 분류 Un-Correlated(비연관) 서브 쿼리 : 서브 쿼리가 메인 쿼리 컬럼을 갖고 있지 않는 형태의 서브 쿼리입니다. 메인 쿼리에 값(서브 쿼리가 실행 된 결과)을 제공하기 위한 목적으로 주로 사용합니다. Correlated(연관) 서브 쿼리 : 서브 쿼리가 메인 쿼리 컬럼을 갖고 있는 형태의 서브 쿼리입니다. 일반적으로 메인 쿼리가 먼저 수행돼 읽혀진 ..
SQL JOIN SQL JOIN은 두 개 이상의 테이블을 결합하여 하나의 결과 집합을 생성하는 것입니다. JOIN은 테이블 간의 관계를 기반으로 수행되며, 공통된 열을 기준으로 두 개 이상의 테이블을 결합합니다. SQL JOIN에는 다음과 같은 종류가 있습니다. INNER JOIN: 두 개 이상의 테이블에서 공통된 값이 있는 행만을 결합합니다. LEFT JOIN: 두 개 이상의 테이블에서 왼쪽 테이블의 모든 행을 결합하고, 오른쪽 테이블의 행은 공통된 값이 있는 경우에만 결합합니다. RIGHT JOIN: 두 개 이상의 테이블에서 오른쪽 테이블의 모든 행을 결합하고, 왼쪽 테이블의 행은 공통된 값이 있는 경우에만 결합합니다. FULL JOIN: 두 개 이상의 테이블의 모든 행을 결합합니다. SQL JOIN..
ORDER BY란? SQL 문장으로 조회한 결과를 특정 칼럼 또는 컬럼들을 기준으로 정렬 특성 기본적으로 오름차순(ASC)로 정렬, 내림차순은 DESC 키워드 사용 컬럼 대신 SELECT 절에서 명시한 ALIAS 명이나 컬럼 순서를 나타내는 정수도 사용 가능 컬럼명, ALIAS, 컬럼 순서번호 혼용 가능 Oracle에서는 NULL 값을 가장 큰 값으로 간주, 오름차순으로 정렬 시 가장 마지막에 표시, 내림차순으로 정렬 시 가장 먼저 위치 (반면, SQL Server에서는 Oracle과 반대임) NULL 값을 처리하기 위해 'NULLS FIRST' 또는 'NULLS LAST'를 사용할 수 있음.(DBMS에 따라 다름) ORDER BY는 쿼리의 맨 마지막에 위치 SELECT 컬럼명 [ALIAS] FROM (..